임을 위한 행진곡
임을 위한 행진곡
  • 경남도민신문
  • 승인 2016.05.19 18:43
  • 14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윤위식/수필가ㆍ한국문인협회 수필분과 회원
 

세상사는 언제나 말도 많고 탈도 많다. ‘5·18민주화운동’은 질곡의 역사와 온갖 유언비어 속에서 파란만장한 세월을 보내며 ‘광주사태’에서 ‘광주민주항쟁’으로 다시 ‘5·18민주화운동’으로 명칭이 바꾸면서 ‘고귀한’ 또는 ‘숭고한’의 수식어를 앞세운 명예를 되찾아 희생자묘역은 ‘국립5·18민주묘역’으로, 기념일은 국가지정기념일로 승격되어 그저께 5·18민주화운동 36주년 기념식이 현지에서 열렸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의 제창이냐 합창이냐를 놓고 해마다 이맘때면 말도 많고 탈도 많더니 5·18관련 단체들은 공연의 일부인 합창이 아니라 추모곡 제창으로 공식 식순에 포함시키지 않으면 기념식에 불참하겠다고 밝혔고, 당일에는 국가보훈처가 주관하는 기념식에 보훈처장이 5·18 유족들의 저지로 입장하지 못하고 발길을 돌려야 했다. 이 같은 갈등은 매년 5·18추모기념식에서 5·18민주화 운동을 대표하는 노래로 불리어 왔던 ‘임을 위한 행진곡’이 1997년 국가기념일로 승격되어 국가주관으로 기념식을 열었을 때부터 2008년까지 행사말미에 기념곡으로 제창이 되어오던 것을 2009년 이명박 정부가 공식식순에서 제외시켜 식전행사로 밀려나고부터 5·18관련단체들은 정부주관 기념식 참석을 거부하고 별도의 기념식을 갖는 등 편 가름이 나고 갈등의 골이 깊어졌다.

얼마 전 박근혜대통령과 3당 원내대표와의 청와대 회동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이 제창되게 하자는 건의에 대통령은 “국론분열이 없는 좋은 방안을 마련해 보라”고 국가보훈처에 지시하겠다고 했던 것이 국가보훈처는 더 이상 국론분열을 없애기 위하여 ‘방안 마련’을 한 것이 “부르고 싶으면 부르고 부르기 싫으면 안 불러도 된다.”며 제창이 아닌 합창으로 결론을 지움으로서 다시 원점으로 돌아갔다. 그러나 이날 기념식에서는 “5·18 정신을 밑거름으로 삼아 사회 각 부문에 민주주의를 꽃피우며 자유롭고 정의로운 나라를 건설하는데 힘써왔다”는 황교안 총리의 기념사에 뒤를 이은 순서로 ‘임을 위한 행진곡’이 합창으로 불리어졌다. 점진적 변화를 기대하며 이쯤에서 물러서도 어떨까하는 생각도 든다.

‘광주사태’라고 하던 명칭을 ‘5·18 광주민주화 운동’으로 공식명칭도 바꾸었고 ‘망월동 묘역’도 ‘국립5·18민주묘역’으로 격상되었고 기념식 또한 국가가 주관하는 ‘국가기념일’로 승격을 하였다면 이는 모든 역사적 사실을 인정을 하고 이를 수용한 것이므로 관대하든 뉘우치든 국헌의 범위 안에서 과감하게 풀어버릴 일이지 어정쩡한 보훈처의 태도가 걱정스럽다. 용서를 구하든 용서를 하든 인색함이 없어야 하고 화해를 하였다면 앙금이 없어야 한다. 언제까지 편 가름의 기념식을 치를 수는 없으니까 이제는 대통령의 확고한 결단이 필요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