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플라시보 효과·피그말리온 효과
칼럼-플라시보 효과·피그말리온 효과
  • 경남도민신문
  • 승인 2017.03.27 18:18
  • 15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경익/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토목공학과 겸임교수

전경익/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토목공학과 겸임교수-플라시보 효과·피그말리온 효과


‘그 시절 푸르던 잎 어느덧 낙엽 지고 달빛만 싸늘히 허전한 가지…’〈마지막 잎새〉의 한 구절이며, ‘후회하지 않아요 울지도 않아요 당신이 먼저 가 버린 뒤 나 혼자 외로워지면… ’〈안녕〉의 한 구절이다. 29세의 아까운 나이로 요절한 가수 배호(1942∼1971)는 온 몸의 진액을 걷어 올려 흐느끼듯 노래하는 창법으로, 5년간의 가수 활동 이래 일세를 풍미한 그의 노래들이 지금도 우리 귓가에 여일하게 남아 있다.

‘찬바람이 싸늘하게 얼굴을 스치면 따스하던 너의 두 뺨이 몹시도 그리웁구나…너와 나의 사랑의 꿈 낙엽따라 가버렸으니’〈낙엽따라 가버린 사랑〉의 한 구절이다. 배호와 같은 해에 태어나 26세에 요절한 차중락(1942∼1968)이 부른 노래 가사일부이다.

이 노래들은 그 당시 전국을 휩쓸었던 히트곡들이다. 그런데 그 가사·곡조·음색이 모두 처량하고 슬프기 이를 데 없다는 사실이었다. 그래서 많은 이들이, 그의 노래가 그의 운명을 재촉한 것은 아니었을까? 하고 애절해 하기도 한다.

반면 한 때는 고생을 많이 하기도 했지만 그의 노래가 중학교 교과서에 실리기도 했던 ‘쨍하고 해뜰날 돌아온단다…’로 시작된 〈해뜰날〉, 과 ‘지난 일은 생각 말자 후회를 말자 더도 말고 덜도 말고 지금이 딱 좋아…’〈지금이 딱 좋아〉라는 송대관(1946∼)의 노래이다. 그는 칠순이 넘은 나이에도 재기하여 펄펄 날아다니고 있다. 자기도 모르는 자기 암시가 때로는 강력한 작용으로 몸에 영향을 미친다.

어떤 사람이 나이아가라 폭포를 구경하다가 목이 말라 폭포의 물을 맛있게 마셨는데 돌아서는 순간 포이즌(Poison:독약)이라는 팻말이 눈에 들어왔는데, 독을 마셨다는 생각에 갑자기 창자가 녹아버리는 듯한 아픔에 급히 병원으로 옮겨졌다고 한다. 진찰한 의사가 껄껄 웃으며 “그 팻말은 프랑스어로 낚시금지(Poisson X)입니다”라고 하자, 그렇게 심하던 배의 통증이 순식간에 사라졌다고 한다.

아주 당연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상식이나 그에 대한 믿음은 마음을 넘어 몸까지 지배한다. 이러한 현상을 위약(僞藥)효과, 곧 플라시보 효과(Placebo effect)라 부른다. 약효가 전혀 없는 거짓 약을 진짜 약으로 속여 환자에게 복용하도록 했을 때 병세가 호전되는 사례가 이에 해당한다. 이 경우 의료 윤리가 쟁점으로 떠오를 수 있으나, 치유의 성과에 중점을 둔다면 그 위언(僞言:거짓말)이 필요악일 수도 있을 수 있다.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조각가 피그말리온(Pygmalion)은 자신이 제작한 아름다운 여인상에 ‘갈라테이아’란 이름을 붙이고 그 여인상을 진심으로 사랑하게 된다. 그는 미의 여신 아프로티테에게 조각상과 같은 여인을 아내로 맞게 해달라고 빌었다. 여신은 그 진정성에 응답하여 조각상을 여인으로 만들어 주었다. 반드시 그렇게 되리라고 믿고 그것을 밀고 나가면 능률이 오르거나 결과가 좋아지는 현상을 피그말리온 효과라 부르는 유래다. 이에 관해 하버드대학 로버트 로젠탈 교수가 1968년에 행한 현장 실험이 있다. 샌프란시스코의 한 초등학교에서 무작위로 20% 정도의 학생을 뽑아 우수한 학생들이라고 담임교사에게 주지시켰다. 8개월 후 측정을 해 보니 이들의 점수가 다른 학생들 보다 상승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명단에 있는 학생들에 대한 교사의 기대와 격려가 그 원인이었다.

한나라의 지도자는 그것이 비록 플라시보 효과이든 피그말리온 효과이든, 백성들에게 희망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판도라의 상자 밑바닥에 희망이 남아 있다고 위무하기 보다는, 그것의 실천적 청사진을 눈앞에 들어 보여야 설득력이 있다. 마오쩌동은 사회주의 혁명을 승리로 이끈 고난의 대장정 기간에, 중국 인민들에게 희망을 보여주고 그들을 일으켜 세움으로써 반전의 계기를 만들었다. 세종께서는 26세에 왕위에 오르자마자 극심한 가뭄과 기아에 마주쳤다. 거리에는 굶어 죽은 사람의 시체가 즐비하자 왕은 자신의 식량인 내탕미로 죽을 끓여 백성을 공궤(供饋)했다. 자신은 궁궐 안에 초가를 짓고 거기서 잠자며 정무를 보살폈다. 이와 같은 감동이 희망을 불러왔고, 그의 치세는 태평한 시대를 열었다. 5월은 대선의 달이다. 우리는 언제나 퇴임 후에 존경받는 대통령을 만날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