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식목(植木)과 육목(育木) 내나무 갖기 운동
칼럼-식목(植木)과 육목(育木) 내나무 갖기 운동
  • 경남도민신문
  • 승인 2017.04.04 18:19
  • 14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류재주/환경부 환경교육홍보단·경남환경연구원장

류재주/환경부 환경교육홍보단·경남환경연구원장-식목植木과 육목育木 내나무 갖기 운동


지난 3월 하순 진주 비봉산 일원에서 진주시 공무원 및 진주혁신도시이전공공기관, 푸른진주시민위원회, 대학생, 시민이 참여한 가운데 편백나무, 가시나무, 상수리나무를 심는 식목행사를 개최했으며 같은 시기에 전국의 많은 지방자치단체와 산림기관에서는 나무심기를 마쳤다. 식목일을 열흘 정도 앞당겨 3월에 이미 나무 심기 행사를 마친 상태다. 진주시의 식목행사는 적절한 시기에 실시했다고 볼 수 있다.국가산림과학원에 따르면 나무를 심기 알맞은 기온은 섭씨 6.5도 안팎이다. 그런데 최근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인해 정작 국가 지정 식목일인 4월 5일에는 전국 대부분 지방의 평균 기온이 10~15도를 웃돈다. 이 무렵에 나무를 옮겨 심으면 이미 너무 많이 자란 뿌리가 새 땅에 제대로 내리지 못해 고사할 위험이 크다는 지적이다.

올해로 72회째를 맞는 우리나라 식목일은 조선총독부가 1911년 4월 3일로 지정한 것을 해방 이후 미군정청이 1946년 4월 5일로 변경해 오늘에 이른다. 4월 5일은 양력으로 24절기의 다석번째인 청명(淸明)이 드는 날이다. 우리 조상은 청명 무렵에 가래질로 흙을 고르며 논농사를 준비했다. 조선시대 성종은 1493년 이날 동대문 밖 선농단(先農壇)에서 문무백관과 더불어 제를 올린 뒤 몸소 농경 시범을 보였다. 1910년에는 순종이 친경(親耕)과 함께 나무를 심었다고 전해진다. 선조들의 식목(植木)과 육목(育木)에 관련하여《고려사》와《조선왕조실록》에는 수 없이 기록되어 있다. 예부터 실천해 온 선조들의 식목과 육림의 실천의지를 알 수가 있다. 역사성은 그렇다 치더라도 4월 5일은 국민들이 기억하는 식목일로서 상징성을 지니는 것은 사실이다.

1872년 4월 10일, 미국 네브라스카주에서는 나무를 심고 가꾸는 행사가 대대적으로 열렸고 그 뒤 J.S 모텅의 생일인 3월 22일을 ‘나무의 날’이라는 의미의 ‘아버데이(Arbor Day)’로 정하고 제 1회 식목행사에서 유래한 것이 식목일이다

유엔은 해마다 3월 21일을 ‘세계 숲의 날’, 그리고 그다음 날인 22일을 ‘세계 물의 날’로 기리고 있다. ‘숲의 날에 나무 심고 물의 날에 물 주자’는 캠페인을 전개 하고 있음을 볼 때 식목과 육목의 날이 보름정도 앞 당겨져야 한다는 말이다.

최근 10년간 식목일 평균기온은 영상 10도 정도로, 1960년 5도, 1970년 7도에 비해 많이 높아진 상태다. 그동안 지구 온난화로 인해 식목일이 제정될 당시인 1946년 당시 4월의 평균기온이 최근에는 3월 중순에 해당한다.

경남의 오늘 오후 날씨가 20도를 넘는다. 봄을 상징하는 매화, 산수유, 개나리는 벌써 꽃이 지고 열매를 맺고 있고, 벚꽃이 만개하여 꽃비를 날리고 있다. 요즘은 지구온난화현상으로 인한 한반도의 아열대성 기후로 날씨가 계속 더워지고 봄꽃의 개화시기도 점차 빨라지고 있다. 식목일을 3월 중순으로 앞당겨야 할 이유가 분명하다. 3월 15일을 전후하여 식목을 해야만 뿌리의 착근이 잘되어 나무가 제대로 성장할 수 있다. 학계에서는 지금처럼 4월에 심은 나무는 수분 스트레스를 받게 돼 활착률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미 싹이 트고 잎이 나는 4월보다 앞서 나무를 심어야 한다는 의견이다.

동아일보 1976.4.3 일자에 ‘50년생 느티나무 한 그루가 하루 12사람에게 필요한 산소를 공급한다하니 이것만으로도 나무를 많이 심고 볼일이다’라는 기사다.

최근 진주의 진산 ‘비봉산 제모습찾기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아낌없이 주는 나무와 숲, 이제는 우리가 숲의 눈으로 바라보고 보듬어 주어야 할 때이다. 식목일을 즈음하여 이참에 36만 진주시민에게 제안하고자 한다. 봄철과 식목일만이 아닌 1년 내내 ‘생애주기별 기념 내 나무 갖기’운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하자. 진주시민 모두가 내 나무 한 그루를 심고 가꿈으로서 푸른 도시 진주건설은 물론이거니와 내 고장 사랑의 애향심을 갖게 됨으로서 시민 화합의 장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