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의 동력 청소년, 시급한 청소년 문화정책
미래의 동력 청소년, 시급한 청소년 문화정책
  • 경남도민신문
  • 승인 2011.06.16 17: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강길선/진주시의원


 

강길선/진주시의원
우리나라 10대 청소년이 느끼는 행복지수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회원국 23개국 중 가장 낮다는 충격적인 연구조사가 나왔다. 그것도 3년 연속으로 최하위란다. 더욱 슬픈 사실은 이렇게 충격적인 조사 결과가 발표되었음에도 우리 사회가 별다른 반응이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정말 솔직하게 말하면 이러한 상황이 크게 이상한 것도 아니다. 각급 지자체에는 청소년 정책 전문가를 눈을 씻고 찾아보아도 찾기 힘들고 국회에는 청소년 정책 전문가 출신 정치인이 거의 없으며 현 정부 역시 청소년 정책을 관장해왔던 국가청소년위원회를 여성가족부 안으로 축소 통폐합시키는 형국이니 우리 사회가 청소년들에게 크게 관심을 갖는다면 어쩌면 그것이 더 이상한 일일지도 모른다.

현재 우리 사회는 청소년의 행복과 건강한 성장을 위한 정책과 배려보다 ‘경쟁력 강화’라는 미명하에 ‘공부하다 죽은 청소년’은 보지 못했다며 입시 위주의 교육시스템으로 청소년을 몰아넣는 데에만 혈안이 되어 있다. 상황이 이러하니 우리 청소년들이 불행한 것은 당연한 결과다. 지난 5월 3일에 발표된 통계청의 ‘청소년 통계’ 내용에 따르면, 청소년 10명 중 7명이 생활전반에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자살률은 매년 늘어나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당장 현행 교육시스템을 뒤바꿀 수는 없는 일이다. 그렇다고 해서 마냥 손을 놓고 있을 수만도 없는 노릇이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청소년들의 여가활동과 문화활동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청소년들은 여가활동을 통해 학업으로 인한 정신적·육체적 피로를 해소하고 가정과 학교의 심리적 속박과 스트레스에서 벗어나 자신을 되돌아보고 창조적인 자아성취를 이룰 수 있다고 한다. 어른들의 고정관념과는 달리 많은 전문가들은 청소년의 여가활동이 사회성을 키워주고 도덕적 가치를 함양케 하여 결과적으로 청소년 비행의 발생을 예방하고 억제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2009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여가·문화 활동 참여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청소년기에 있어서 여가란 단순히 남는 여유 시간이 아니라 평생에 걸쳐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하나의 교육방법이고 사회제도라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우리 청소년들은 여가활동과 문화활동을 맘 편하게 즐기지 못하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시간과 돈, 그리고 관련된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이며 청소년들이 다양한 여가·문화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사회적인 인프라 자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참여 비용에 부담을 느끼는 청소년들을 위한 ‘청소년 문화바우처’ 사업이 지금보다 폭넓게 마련되어야 하며, 국가나 지자체 차원에서 양질의 문화활동을 소개해주고 자연스럽게 참여를 유도하는 ‘청소년활동 인증제’도 적극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청소년들이 다양한 여가·문화활동 프로그램을 편하게 접할 수 있는 청소년 문화시설을 지금보다 확충해야 한다. 많은 지자체가 청소년들을 위한 시설에는 투자가 미흡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데, 본의원이 몸담고 있는 진주시 역시 이러한 비판을 피해갈 수 없는 사정이 있다. 지난해 지역 언론과 사회단체들이 그렇게 목청 높여 요구했던 청소년 시설 확충에 대해서 아직까지도 특별한 대안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진주시를 막론하고 모든 지자체가  ‘청소년 문화의 집’ 등의 생활권 내의 청소년 문화시설을 더 확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청소년 문화정책을 강조하면서 잊어서는 안 될 것은 지역사회의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내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지자체뿐 아니라 각급 학교와 청소년 관련 단체, 그리고 학부모가 일상적이고 안정적인 소통을 하며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민간의 참여와 투자를 지속적으로 끌어 낼 수 있어야 만이 지속적이고 지역 맞춤의 청소년 문화 정책 실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자체 차원에서 청소년 정책 전문가와 전담 부서를 확보하고 행정전달체계를 효율적으로 개편하여 실행력과 집행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투표권이 없고 목소리가 작다는 이유로 우리 청소년들의 고통과 스트레스를 외면하는 일이 더 이상 있어선 안 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