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을 열며-스튜핏, 그레잇. 방송 언어 이대로 괜찮은가?
아침을 열며-스튜핏, 그레잇. 방송 언어 이대로 괜찮은가?
  • 경남도민신문
  • 승인 2018.01.24 18:31
  • 14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채영숙/영산대학교 게임영상콘텐츠학과 교수

 
채영숙/영산대학교 게임영상콘텐츠학과 교수-스튜핏, 그레잇. 방송 언어 이대로 괜찮은가?

당신은 TV 방송을 얼마나 보시나요? 어떤 프로그램을 좋아하시나요? 방송 시청이 여가 시간 중 가장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활동이고 그 영향력이 얼마나 큰 지는 이미 체험해 보았을 것이다. 많은 시간을 소비하기도 하지만, 방송은 더 이상 집에서 TV 앞에 둘러앉아야만 보는 것이 아니다.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방송 신호를 잡을 수만 있다면 다양한 기기로 TV 방송을 볼 수 있는 세상이다. 장소와 기기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공영방송을 포함하여 약 250 여개의 케이블 채널들이 운영되고 있는 요즘 TV 방송 프로그램에는 드라마, 좌담, 요리를 포함한 연예오락, 다큐와 교양 등 다양한 장르의 프로그램들이 방영되고 있어 하루종일 TV만 보아도 지겹지 않다.

시청자는 개인 취향에 따라 시간별 뉴스에서 사회 이슈들을 보면서 세상 돌아가는 상황을 이해하는 형태, 드라마를 통해 정서적 공감을 보이는 형태, 다큐프로그램을 놓치지 않고 보는 형태 등 다양한 관심 유형들이 있다.

온 저녁 가족들이 둘러앉아 TV를 시청하고 있는데 들려오는 단어. 스튜핏, 그레잇, 그뤠잇, 슈퍼 그뤠잇…처음 한 연예인의 입에서 이 말이 나오고 자막 처리가 되는 단어를 보면서 좀 그렇네라고 생각했다. 이제는 이 단어가 유행어가 되고 여기저기 오락 프로그램에 자주 등장하고, 사람들의 입에서 자연스럽게 내뱉는 모습을 본다. 개그맨들이 쓰는 방송 언어가 과연 이대로 괜찮은가?

공영방송 뿐만 아니라 케이블방송채널까지 250여개의 채널 중 프로그램을 선별하는 것은 시청자의 몫이다. 좋고 나쁨을 판단할 수 있는 나이라면 문제가 안되지만 초등학생까지 볼 수 있도록 되어있는 누구나 시청 가능한 프로그램은 방송제작자나 방송국에서 책임을 져야 한다. 방송통신심의가 분명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그맨들이 사용하는 언어가 이제 그 위험 수위를 넘어섰다. 막 내뱉는 막말이 그냥 방송 전파를 타는 것이다. 아나운서가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프로는 사용되는 용어에 조심을 하는 듯하지만 예능인이 주도하는 프로그램에서는 재미는 더 있는지 모르겠지만 가끔씩 사용하는 언어에 불쾌감이 들기도 한다.

드라마나 오락 프로그램에서 욕을 XX로 처리하거나 삐 처리로 하면 방송에 문제가 없다는 것인가? 지나친 비속어나 공격적인 비하 발언, 심지어 욕설에 가까운 말 때문에 눈살을 찌푸린 경험을 하면서 단순히 재미를 더하기 위해서 그대로 방영하는 상황을 지켜보아야 하는가? 방송사가 경쟁이 심해질수록 흥미 위주의 방송이 많아지면 이런 잘못된 언어 사용은 더 심해질 것이다. 방송은 시청자의 의식 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사회적 지속성으로 나타남을 기억해야 한다.

25년 전 한국어를 컴퓨터로 처리하는 한국어정보처리라는 분야에 발을 들여 놓으면서 난 우리나라에서 발간된 표준국어대사전을 컴퓨터에 모두 입력하는 작업을 했었다. 10여만개의 단어들에서 내가 알고 쓰는 단어는 고작 3만여 단어. 보면 알 수 있는 단어가 2만여 단어. 나머지 5만여 단어 중에는 어감이 예뻐 보이는 순수우리말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한자어는 조합으로 이루어지니 어림짐작으로 뜻을 이해하지만 순수우리말은 그 뜻을 알 수조차 없었다. 세월이 흐르면서 잊혀져 가는 단어들이다. 세월이 더 흐르면 우리말은 어떻게 바뀔까?

인터넷 언어가 유행을 하면서 두문어가 사전에 등재되어 있기도 하는데, 스튜핏, 그레잇이란 단어가 국어사전에 등재될 날이 멀지 않았다.

규정에 의하면 ‘방송은 바른 언어생활을 해치는 억양, 어조, 비속어, 은어, 저속한 조어 및 욕설 등을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방송은 외국어를 사용할 때는 국어순화 차원에서 신중해야 한다’라고 되어있다. 우리말이 있음에도 영어 표현에 욕심을 부린다. 오히려 외국인이 우리말을 더 사랑하는 날이 올 수도 있다. 누군가의 관여에 의한 수정 보다는 방송인의 자율적인 정화 노력이 작동했으면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