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침묵의 힘
칼럼-침묵의 힘
  • 경남도민신문
  • 승인 2018.09.03 18:46
  • 15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경익/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토목공학과 겸임교수

전경익/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토목공학과 겸임교수-침묵의 힘


뭇 묘함의 출입구는(衆妙門) 침묵만 한 것이 없다(無如默). 교묘한 자 말 많아도(巧者語) 질박한 이 침묵한다(拙者默). 조급한 자 말을 해도(躁者語) 고요한 이 침묵한다(靜者默). 말하는 이 힘들어도(語者勞) 침묵하면 편안하다(默者佚) 말하는 이 낭비하나(語者費) 침묵하면 아낀다네(默者嗇). 말하는 이 다툼 있고(語者爭) 침묵하니 편안하다(默者息). 침묵 속에 도는 응축이 되고(道以默而凝) 침묵으로 덕은 쌓여 간다네(德以默而蓄). 침묵 통해 정신은 차분해지고(神以默而定) 침묵으로 기운이 축적이 되지(氣以默而積). 침묵 속에 말은 더 깊어지고(言以默而深) 침묵 통해 사려를 얻게 된다네(慮以默而得). 이름은 침묵으로 줄어들지만(名以默而損) 실지는 침묵 속에 더해진다네(實以默而益). 깨어서는 침묵으로 태연해지고(寐以默而適) 재앙은 침묵 통해 멀어지지만(禍以默而遠) 복은 침묵 속에 모여든다네(福以默而集). 말하는 자 모두들 반대로 하나(語者悉反是) 얻고 잃음 환하게 볼 수 있으리(得失明可燭). 그래서 내 집 이름 묵소(默所)라 붙여(故以名吾居) 편히 앉아 아침 저녁 모두 보내리(宴坐窮昕夕).

잠명류(箴銘類)의 산문(散文)이다. 보통은 마음이나 처세에 교훈이 될 만한 경계의 말을 운문(韻文) 형식으로 쓴다. 운(韻)자를 써서 가락을 맞추지만 시와는 다른 산문 형식의 한 갈래다. 흔히 좌우명(座右銘)이라고 하는 글이 여기에 해당한다. 잠(箴)은 특정 주제어를 두고 그에 대한 경계의 내용을 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수잠(睡箴)이라 하면 ‘잠’에 대한 경계의 내용을 담는다. 명(銘)은 새긴다는 뜻이니 원래는 사물에 새겨 놓고 경계로 삼던 데서 나왔다. 침명(枕銘)은 베개에 새긴 글이고, 금명(琴銘)은 가야금에 새긴 글이다. 이 글은 글쓴이가 자신의 거처에 묵소(默所)라는 이름을 붙인 경위를 풀이한 글이다. 묵소는 ‘침묵의 집’이라는 뜻이다. 일상의 삶에서 침묵의 힘이 얼마나 크고 중요한지를 설명하고, 자신 또한 그러한 삶을 꾸려 나갈 것을 다짐했다.

말 많은 이는 교묘한 꾀를 잘 쓰고 성정(性情)이 조급한 사람이다. 말을 많이 하면 힘이 들고 노력이 낭비되며 공연한 다툼만 많아진다. 하지만 침묵하는 사람은 질박(質樸)하고 고요해서 상대를 압도한다. 침묵은 마음을 편안하게 해 주고, 힘을 절약하게 해 준다. 침묵 속에서는 다툼도 일어나지 않는다. 침묵을 통해서만 도덕은 내 안에 응축(凝縮)된다. 정신과 기운도 침묵을 통해 더 단단해지고 축적될 수 있다. 말에 깊이를 더하고 싶은가? 침묵을 배우면 된다. 사려가 깊어지려면 침묵의 힘에 기댈 수밖에 없다. 침묵을 통해 실질을 기르며 헛된 이름을 멀리해야 한다. 침묵 속에서만 우리는 잠잘 때나 깨었을 때나 태연하고 쾌적한 삶을 누릴 수가 있다. 재앙(災殃)을 멀리하고 복(福)을 가까이 하려거든 역시 침묵을 배울 일이다.

위 글은 조선 중기 효종 비(妃) 인선왕후(仁宣王后)의 아버지이기도 한, 대표 문인인 장유(張維: 1587∼1638)의 산문(散文)중의 일부이다. 스님들의 묵언정진(黙言精進)의 수행이 가슴에 깊이 와 닿는 것 같아서 인용해 보았다. 옛 사람들은 말에 언령(言靈), 즉 어떤 신비스러운 힘이나 주력(呪力)이 있다고 믿었다. 같은 말을 계속 사용하다 보면 하늘을 움직일 만한 큰 힘을 발휘할 수 있으며, 일상적으로 늘 쓰고 있는 말도 말이 되풀이 사용됨으로써 그 음성언어에 창조력이 있다고 믿었다. 그러나 ‘말이 씨가 된다.’는 말이 있다. 옛 사람들은 단정하고 묵직하여 망령되이 허튼 말을 하지 않는 것을 구덕(口德)이라 하였고, 남을 비방하고 말이 많은 것을 구적(口賊)이라 하여 경계하였다. 경북 예천군 지보면 대죽리에 가면 전 세계적으로 하나 밖에 없는 희귀한 무덤이 하나 있는데 ‘말무덤’ 즉 언총(言塚)이다. 말조심하라는 말의 무덤이다. 세상을 갈수록 말이 많아지고 있다. 사람들 사이에 말이 많아지면, 진실은 어둠 속으로 숨는다. 불교에서는 모든 화는 입에서 나온다고 보았으며, 일체 중생의 불행한 운명은 그 입에서 생기므로 입은 몸을 치는 도끼이고, 몸을 찌르는 칼날이라고 ‘제법집요경(諸法集要經)’은 설파하였다. 오늘날과 같이 말 많고 험악한 세상을 살아가는데 ‘말무덤’이 가르치는 시사성은 크다고 하겠다. 말하기 좋다하고 남의 말을 말을 것이 남의 말 내 하면 남도 내 말 하는 것이 말로써 말이 많으니, 말 모름이 좋아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