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의 수중생태계와 해양덤핑
독도의 수중생태계와 해양덤핑
  • 경남도민신문
  • 승인 2011.09.05 18: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김남길/경상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교수
지난해에 이어 금년에도 독도의 수중생태계를 탐방할 기회가 있었다. 수중생태 및 수중사진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독도의 수중생태계에 대한 생물상 분포를 조사하고 서식생태에 대한 수중 경관 모식도를 작성하여 영토보존 차원에서 독도의 수중생태계에 관한 학술적 자료를 확보하고 수중생태계의 밑그림을 바탕으로 수중에서도 보호되고 보전되어져야 할 해양생명체의 가치들에 대해 기록을 남겨두자는 의미 있는 작업이다.

필자는 해조류 분야의 전문가로서 사진과 동영상 자료를 바탕으로 소량의 시료를 채집하고 해조생태계의 경관모식도를 작성하는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독도의 해조생태계를 구성하는 중요한 해조류로는 감태, 대황, 외톨개모자반 같은 대형 갈조류를 들 수 있다. 이들 해조류들은 수심 5m 층에서부터 25m바닥까지 분포하며 대량으로 번식하여 전형적인 바다숲을 조성하는 다년생 해조류이다. 그러나 대황의 경우 분포범위가 축소되고 밀도도 낮아지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에 대한 원인은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서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감태의 경우 독도뿐만 아니라 울릉도에서도 독보적이고 우점적 지위를 가지는 대표적인 바다숲 구성종이다. 이밖에 청각, 부챗말, 큰잎모자반, 애기사슬풀, 우뭇가사리 등의 해조류가 비교적 깊은 수심대에 걸쳐 고르게 분포하고 있다.

반면 선착장 앞 바다와 독도의 주민숙소가 마주하는 곳에서는 해조류의 밀도가 낮고 생체량도 다른 곳에 비해 매우 낮다. 또한 구르는 돌에 이끼가 끼지 않는다고 주변에는 태풍 등 강한 파도에 의해 구를 수 있는 작은 바윗돌이나 암석으로 이루어진 저층대가 발달하여 대형 해조류는 볼 수 없고 번식력이 빠른 산호조류의 번무와 초식동물인 보라성게의 밀도가 높아 부분적인 갯녹음(백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나 독도의 바다숲을 기반으로 한 수중 생태계가 전반적으로 건강하기 때문에 당장 바다숲이 사라진다거나 하는 현상으로 까진 확대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동도와 서도연안의 표층으로부터 수심 5m에 이르는 수층까지는 손바닥 만한 크기의 참담치(홍합)가 고밀도로 착생하고 있는데 어민들이 거의 채취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참담치의 착생밀도나 서식량은 크게 줄어들지 않고 있다. 그런데 최근 독도에 서식하고 있는 참담치에서 미량의 수은이 검출되었다는 전문가의 분석결과가 나온 바 있다. 필자는 이 이야기를 들으며 그것은 아마도 독도 주변의 EEZ(배타적 경제수역) 수역에서 수십년간 지속된 해양덤핑에 의해 버려진 각종 폐기물로부터 유래한 중금속 성분이 여과식성 동물인 참담치의 먹이사슬을 통해 생물학적으로 축적되어 나타난 것이 아닌가 유추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포항 동쪽 125㎞ 해역의 동해병, 울산 남동쪽 63㎞의 동해정, 군산 서쪽 200㎞의 서해병지역 등 3곳의 폐기물 배출 해역이 있다.

국토부에 따르면 폐기물 해양 배출이 시작된 1988년 이후 작년까지 약 1억2000여만톤의 폐기물이 해양에 버려졌고, 작년에는 약 448만톤이 배출됐다. 주된 폐기물로는 하수오니, 축산분뇨, 음식물 등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중금속 등 위해물질도 포함돼 있어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내년부터는 하수오니와 가축분뇨가, 2013년부터는 음식물 폐기물의 해양배출이 금지된다. 우리나라의 폐기물 해양투기는 1960년대 말 1970년대 초 방사성폐기물을 동해 울릉도 남단 수심 2200m에 투기한 예가 있고, 1993년 러시아의 방사성폐기물 해양투기사건으로 한?일?러 3국이 공동으로 동해 북태평양에서 현장조사를 실시한 예가 있다. 독도 주변 수역에 배출된 해양폐기물이 우리나라에서 배출되었다는 근거는 없다. 앞으로 보다 상세한 연구결과가 나오겠지만 해양덤핑에 의한 생물농축 등 해양생태계의 오염은 담치와 같은 고착성 생물이나 독도 주변의 정착성 생물 등에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오염원이 전혀 없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는 우리국토 최동단 독도의 해양생물과 생태계에 나타나는 이와 같은 현상은 폐기물의 해양배출이 금지되어야 하는 이유를 잘 설명해 주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