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운동
새마을운동
  • 경남도민신문
  • 승인 2015.07.14 17: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윤기식/진주문화원 회원

1970년도에 한국 농촌은 여전히 빈곤의 악순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전국 농가의 80%가 초가지붕이었고 전기가 들어간 농촌마을은 20% 전국에 있는 5만여개의 자연부락 중 자동차가 드나들수 있는 마을은 30%, 농산물을 운반하는 데도 남자들의 지게로 여자들은 머리에 이고 날라야만 했다. 박정희 대통령에게는 해묵은 농촌의 근대화로 앞당겨야 한다는 것이 가장 큰 과제 중의 하나였다. 농촌을 하루 빨리 근대화 시키는 힘은 수출주도의 공업화에서 얻어야만 했다.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하면 된다”, “잘 살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게 된 것이다. 농촌의 근대화를 앞당기는데는 정부의 물적지원도 중요하지만 그에 앞서 농민들의 자립의지 즉, 자조정신(自助精神)이 선행되어야만 한다. 71년도 부터 마을마다 약 3백포대의 시멘트를 지원함으로써 시작된 새마을 운동으로 해묵은 한국 농촌의 근대화가 앞당겨졌을 뿐만 아니라 한국경제가 도약할 수 있었던 정신적인 원동력이 되었다.


전국의 마을마다 자동차가 드나들 수 있고 농촌에 초가지붕이 사라졌으며 농촌의 식수공급의 개선을 머리에 물동이를 이고 우물물을 나르는 아낙네들의 모습도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보리고개가 사라지고 다수확 품종인 통일벼의 보급으로 쌀의 자급이 가능해짐으로써 식량난이 해소되었다. 농가의 재래식 부엌, 아궁이가 구공탄용 새마을 보일러로 바꿔짐으로써 헐벗은 강산이 푸르름을 다시 찾게 되었다. 근면, 자조, 협동을 새마을운동의 본 정신으로 삼고 새마을 정신은 우리가 잘 살기 위한 정신자세였으며 한국의 자본주의 정신이기도 하였다. 한국 역사상 처음으로 풀뿌리 민주주의를 실천하는 기회가 생겼다. 그 당시 정부로서는 새마을사업을 위해 시멘트와 철근만 지원 새마을사업에 들어가는 토지와 건물 등에 아무런 보상금을 지불하지 않았기 때문에 누구의 땅과 집터가 들어간 면적은 마을주민이 스스로 결정해야만 했다. 마을마다 새마을회관을 짓게한 것은 풀뿌리 민주주의가 실천되었으며 특히 농촌 여성들의 발언권이 크졌다.

1971~1978 사이에 마을 진입로와 마을 안길을 개발한 길이는 마을당 2천6백m이고 땅 소유주의 새마을 사업을 위해 희사한 토지면적은 마을당 약 1천오백평인 것으로 통계가 나왔다. 박정희 대통령이 새마을사업을 하지 않고 넘겼더라면 한국의 농촌은 아직도 초가집에 등잔불을 켜고 살면서 꼬불꼬불한 마을길을 따라 지게를 지고 농사를 짓는 농가들이 농산물 개방압력을 받아야만 했을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