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천성면역결핍증, 에이즈 (AIDS)
후천성면역결핍증, 에이즈 (AIDS)
  • 경남도민신문
  • 승인 2012.03.11 17: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 석/경상대 수의과대학 교수
후천성면역결핍증은 흔히 에이즈(AIDS;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라 불리며,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에 의해 발병되는 질병이다. 에이즈는 1970년대 말 미국과 아프리카에서 발생하였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지만, 1950년대 말 중앙아프리카의 녹색원숭이에서 유래되어 미국과 유럽지역으로 전파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정확한 발병기원에 대한 기록이 없는 실정이다. 에이즈는 처음 보고 된 이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폭발적인 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현재 인류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가장 치명적인 전염병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에이즈는 바이러스에 의한 전염병으로 원인체는 HIV이며 종류로는 HIV-1과 HIV-2로 알려져 있다. 한편, 사람과 더불어 원숭이에도 후천성면역결핍증이 보고가 되고 있는데, 원숭이 에이즈의 원인체는 SIV(simian immunodeficiency virus)라 불린다. HIV와 SIV의 유전자 구성이 밀접하고 계통발생학적으로 연관성이 있기 때문에 에이즈를 인수공통전염병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에이즈의 원인바이러스인 HIV는 질병에 대한 신체의 방어체계인 면역계를 서서히 파괴함으로서 다른 질병 감염에 무방비 상태에 이르게 해 결국 사망하게 되는 질병이다. 즉 AIDS란 HIV 감염의 마지막 단계인 셈이며, 이때 여러 가지 질병의 감염증상이 나타난다.

HIV는 주로 혈액이나 정액, 그 밖의 생식기 분비물 및 모유를 통해 전염되는 특성을 보인다. 에이즈는 전염성 질병이기는 하지만 접촉감염성 질환이 아니기 때문에, 기침이나 재채기의 비말이나 보통의 신체적 접촉을 통해서는 전염이 인정되지 않는다. 가장 일반적인 전염방식은 이성이나 동성간의 성접촉, 수혈, 태반이나 모유를 통한 감염이 흔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세계 보건기구(WHO)의 보고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적으로 에이즈 환자수가 4000만 명 이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국내에도 수천에서 수 만 명이 감염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아프리카 남부지역의 보츠와나의 경우 전체인구의 약 30%가 감염된 것으로 보고 될 정도로 감염률이 높으며, 최근 중국과 인도를 비롯한 아시아 지역의 감염률도 증가일로에 있어 심각한 상태에 직면했음을 알 수 있다. HIV 감염 증상은 다양한데 불현성 감염상태(증상없이 감염되어 있는 상태)를 평생 지속하는 경우도 있으며 일정 잠복기를 지나서 AIDS로 진행하는 경우도 있다. 즉, HIV에 감염이 되었다고 반드시 에이즈로의 진행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주요 임상 증상은 감염 후 6주정도 지나서 독감과 유사한 증상, 즉 발열, 인후두통, 근육통, 구역질, 구토, 설사 및 전신무력감 등이 나타났다가 다시 정상으로 돌아간다. 이러한 초기증상을 보인 후 별다른 임상징후 없이 짧게는 몇 년, 길게는 십년 가까이 정상인으로 생활하며 이 기간 동안에 면역력이 서서히 떨어지고 다른 사람에게 HIV를 전파하게 되며 결국에는 에이즈로 진행되는데, 이 에이즈 기간에는 면역계가 허약해짐에 따라 기회감염(정상인은 면역계가 쉽게 물리치지만, 면역계가 허약해진 사람이 걸리는 질병)은 물론 다른 세균성, 곰팡이성, 바이러스성 감염과 각종 암과 같은 악성질병에 쉽게 걸리게 된다. 최종적으로 에이즈 환자는 각종 기회감염이나 악성질환을 방어하지 못하게 되어 사망하게 된다.

다른 바이러스와 마찬가지로 HIV는 바이러스 중에 retrovirus에 속하는데 RNA virus이며 숙주의 면역세포에 침입하여 증식하는 특성을 보인다. 최근까지 에이즈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완벽한 치료법 및 예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최근, 에이즈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약제가 개발되어 미국 FDA 승인을 받은 약제가 다수 보고되었다. AZT, ddI, ddC, d4T, 3TC 등이 에이즈 증상 완화제에 해당되는데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는 만큼 가까운 시일 내에 유효한 치료제 및 예방백신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HIV감염의 가장 효과적인 예방방법은 안전한 성관계가 가장 중요하며, 정확한 검진을 통해 감염자의 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콘돔의 사용, 병원에서 사용하는 수술 및 채혈도구의 1회사용, 혈액 및 혈액유래 제품의 관리 철저 등은 HIV 감염의 좋은 예방법이라 할 수 있다.       

 

- 자료출처:  Milloy et al (2012, AIDS), Bricaire et al (2011, Bull. Acad. Natl. Med.), 질병관리본부, 수의역학 및 인수공통전염병학 (2011, 문운당)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