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부로’ 사회
‘함부로’ 사회
  • 경남도민신문
  • 승인 2014.08.06 10: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수정/ 창원대 교수·철학자

뉴스를 보고 있노라면 우리가 사는 이 인간세상은 정말이지 끝도 없는 ‘사건’들로 가득 차 있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 매일매일이 그렇다보니 이제 사람들은 웬만한 사건이 아니면 그다지 놀라지도 않는 것 같다. 아니 웬만한 사건이라 하더라도 그런 것 또한 하도 많으니 그런 강도(强度)에도 이젠 어느 정도 이골이 나 있는 것 같다.


처음 있는 일도 아니지만 나는 최근에 일어난 ‘윤일병 구타 사망사건’과 ‘김해 여고생 잔혹 살해사건’에 대해 지금까지도 치를 떨고 있다. 굳이 피해자와 그 가족들의 입장이 아니더라도 이런 사건이 그 자체로 얼마나 엄청나게 ‘나쁜’ 일인지는 사실 자명한 일이다. 그런데 이런 사건을 접하면서 특히나 가슴이 찢어지는 것은 그 가해자인 선임병들과 여중생들에게 그게 얼마나 ‘나쁜’ 짓인가 하는 인식이 전혀 없었다는 사실이다. 그들은 도대체 어떤 사람들인가. 그리고 그들은 어떻게 해서 그러한 그들이 되고 만 것인가. 뭔가 이유가 있을 것이다. ‘모든 것은 그 이유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철학이 가르쳐주는 존재의 근본법칙 중 하나가 아니었던가.

생각해보면 그들이라고 그러한 그들이 되고 싶기야 했겠는가. 어떻게 살다가보니 그러한 인간이 되고 만 것이리라. 이 ‘그렇게 되고 말았다’는 것에 대해서는 물론 그들 각자가 일차적으로 책임을 져야 하겠지만, 또 한편 생각해보면 그들이 그러한 인간으로 만들어졌다는 측면도 간과할 수 없다. 인간이란 애당초 나약하며 주변적인 사정, 여건, 상황, 특히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져나가는 ‘가소적’(可塑的) 존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그러한 그들을 그렇게 만든 바로 그 ‘주변’에 대해서도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 그 주변이란 일차적으로는 부모를 포함한 ‘가정’이다. 그리고 그들이 학생이고 군인인 한 그 주변은 또한 ‘학교’이고 ‘군대’이기도 한 것이다. 가정이나 학교, 군대 같은 삶의 장소들이 정상적으로 제 기능을 한다면 거기서 그러한 범죄를 저지르는 ‘괴물’ 내지 ‘악마’들이 자라날 수 없다. 우리 사회는 지금 총체적으로 뭔가 심각하게 잘못되어 있는 것이다. 옳고 그름, 좋고 나쁨에 대한 가치가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망가져가는 듯한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지금이라도, 그리고 무슨 수를 써서라도 이것을 돌이켜야 한다. 그것이 조금이라도 가능하기 위해서는 원인 제공을 한 가정과 학교와 군대가, 그리고 이것들을 포함한 국가사회 전체가 그 구조를 바꿔나가지 않으면 안 된다. 우리의 삶이 원천적으로 그러한 ‘집단’들과 무관할 수 없다면, 우리는 어떻게든 그 ‘집단’을 ‘선(善)의 집단’으로 만들어 그것을 오히려 배움과 인간개조의 장으로 활용하는 것은 어떨까.

가정이든 학교든 군대든, 그것이 선의 집단이 될지 악의 집단이 될지는 모두 그 집단을 구성하는 ‘사람들’에게 달려 있다. 따라서 순진한 말 같지만, 가정이나 학교나 군대를 구성하는 사람들이 진정한 ‘선’에 대해 관심을 갖지 않으면 안 된다. 그게 없다면 사태는 더욱 악화될 뿐, 개선의 여지는 있을 수 없다.

그렇다면 진정한 선이란 어떤 것일까. 나는 철학자의 한 사람으로서 단언한다. ‘나쁘지 않은 것’만 해도 일단은 선이다. 나쁘다는 것은 그렇다면 무엇인가. 역시 나는 단언하지만, 그 핵심은 자기 아닌 타인을 ‘함부로’ 생각하고 ‘함부로’ 대하는 바로 그 ‘함부로’에 있다. 우리 사회는 지금 어느 틈엔가 걷잡을 수 없는 ‘함부로-사회’가 되고 말았다. 사람이 사람을 너무나 쉽게, 너무나 함부로 대하고 있다. ‘내가 하나면 너도 하나’, ‘내가 열이면 남도 열’이라는 가치만이 이 ‘함부로병’을 치유할 수 있는 열쇠가 된다. 너를, 그리고 남을 나처럼 생각한다면 어떻게 함부로 그를 욕할 수 있고 괴롭힐 수 있고 때릴 수 있고 죽일 수 있겠는가.

‘네가 남에게 대접받고자 하는 대로 남을 대접하라’는 예수의 말과 ‘자기에게 싫은 바를 남에게 행하지 말라’는 공자의 말도 바로 그런 ‘함부로병’을 염두에 둔 치유의 철학이었다. 나는 이러한 철학이 이젠 가정은 물론 학교와 군대에서도 최우선순위로 ‘교육’되고 ‘훈련’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곳들은 사람으로서의 기본을 배우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소로 기능해야 한다. 그렇게 해서 학교와 군대가 ‘사건’의 생산처가 아닌, 진정한 의미의 ‘사람’의 생산처로 오히려 거듭나기를 기대해본다. 철학자의 이런 충언을 부디 함부로 흘려듣지 않기를 나는 바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